목록개인 공부/스프링부트 개념정리 (30)
나의 개발 성장일지

1.x-www-form-urlencoded(MIME타입)로 보내는 의미 1-1 (KEY=VALUE&KEY=VALUE) 형태로 보내겠다.(컬렉선프레임워크) 1-2 HTML에서 form태그로 전송하는 효과 2-3 데이터를 DTO형태로 받을수있다. 2-4 DAO만들기->SQL구현체와 인터페이스 2-4-1 Repository는 SQL의 CRUD+@가 구현되어있다. 2-4-2 User테이블의 기본키는 숫자타입 이라는 뜻 2-5 컨트롤러에서 컨테이너에 있는 객체 자동주입하기 2-6 데이터 요청과 데이터 DB저장 2-7 테이블정보와 칼럼의 관계 2-7-1 원래 테이블의 모든 칼럼은 들어가야 DB오류가나지않는다. 2-7-2 User테이블에 role칼럼의 default값은 user이다 2-7-3 default값이 들어가..

테이블에서 소유권표기하는법 1개의 칼럼은 1개의 정보가들어가야한다. 희찬테이블->예약한차 칼럼->흰차,검은차 ->불가능 차테이블->흰차(희찬소유),검은차(희찬소유) 이렇게 가능 페이지당 테이블간 연관관계를 생각하자 Join은 여러테이블에서 정보를 가져오기위함 Fk는 다른테이블에서 연관정보 가져오는 매개체 -> 가져오는테이블에서 기본키여야함 1.연관관계의 주인 = FK를 가진 오브젝트 2.페이지당 기능구현 생각해보기 2-1 메인페이지-> 페이징당 게시글(Board테이블) 2-2 상세페이지->작성자(User테이블),,제목과내용(Board테이블),댓글(reply테이블) 2-2-1 SQL방식-> 3개의 테이블을 JOIN하여 가져옴 2-2-2 JPA방식 -> Board테이블만 가져오면됨 2-2JPA의원리 2-2-..

ORM->내가 오브젝트를만들면 JPA가 테이블로 만들어준다. 1. UserModel생성하기 2.JPA설정 해석하기 2-1 ddl-auto-> create는 실행할때마다 테이블을 재생성->차후에 update로 변경 2-2 show-sql -> 콘솔창에 결과 sql보이기 2-3 hibernate.format_sql-> 콘솔창 sql을 한줄정렬해서 보여주기 2-4 use-new-id-generator-mapping -> jpa의 기본 넘버링 전략 안따라감 2-5 physicalnamingstrategy -> 엔티티(테이블)만들때 변수명 그대로 테이블 필드로 넣어준다 3.Mysql테이블 정보보는법 4.User 테이블 설정 5.Reply테이블 설정 6.Board테이블 설정

1. yaml 이란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6184 yaml파일 이란 무엇인가요 - 인프런 | 질문 & 답변 안녕하세요 강사님 너무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yaml파일 이라는 단어를 요 근래 많이 듣고 있는데 정확인 무슨 파일인가요 검색해 보지도 않고 무조건 질문을 드리는것 같아서 죄송하지만 www.inflearn.com 2. yml 설정 web.xml, root-context.xml, servlet-context.xml의 합본 application.yml server: port: 8000 servlet: context-path: /blog encoding: charset: UTF-8 enabled: true force: true spring: mvc: vie..

Maven의 역활 1.프로젝트->파일서버만접근 2. pom.xml에 적힌 필요목록을 프로젝트시작시 다운받아줌 3.STS4 Lombok인식하게하기 3-1 Lombok 폴더이동 3-2 Bash에서 Lombok인식시켜주기 3-3 Lombok 인식완료 3-4 Lombok의 기능 3-4-1 Getter,Setter를 Data로 코드를 줄일 수있다. 3-4-2 생성자도 생성가능하다 3-4-3 builder는 생성자 오버로딩을자동으로해준다. ->객체생성할때 원하는 필드로생성자가능

클라이언트측 데이터 보내기: URL이냐 BODY냐 서버측 데이터 받기: URL이나BODY위치를 정하고 받을이름을 매핑 1.GET요청 URL에서 정보 추출하는법->URL파라미터에서 추출 1-1 URL에서 @RequestParam 개별 매핑 1-2 URL에서 DTO 매핑 ->쿼리스트링과 DTO 객체 필드와 같아야한다.(스프링이넣어줌) 2.Post방식 ->URL이아닌 Body부분에서 추출(클라이언트측 보낼때 (FORM태그) -X-www-form-unlencoded) 2-1 Body부분과 DTO 매핑 2-2 body에서 키값 개별매핑-> 어떤형식으로 보낼지에따라 분석이달라짐 2-2-1 클라측에서 text/plain로 Body에 넣어서 보냄 -> json도 텍스트로 받음 2-2-2 클라측에서 appliicatio..

1 PostMan 설치하기 2.HTTP통신 4가지방법 3.웹소켓 방식 ->StateFul(연결지속)->한번만 보안 4.HTTP방식 -> Stateless(요청마다 연결)->요청마다 사용자를 어떻게 인증 5. MiME타입의 필요성 ->헤더에 Body정보를 넣어주는 방식 5-1 Post방식 5-2 http통신 방식 2가지(기본적으로 요청마다연결하는건같음) 5-2-1 서킷스위칭 5-2-2 패킷 스위칭(http방식) ->데이터보낼때 헤더가필요한이유 패킷스위칭-> 서버에서 다 받고 재조립-> 헤더를 보고 바디를 조립

1. github 회원가입 https://github.com/ Build software better, together GitHub is where people build software. More than 40 million people use GitHub to discover, fork, and contribute to over 100 million projects. github.com 2. git 설치 https://git-scm.com/downloads Git - Downloads Downloads Mac OS X Windows Linux/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 repository is on GitHub. GUI Clients..

1.사용자 생성 및 권한주기 및 DB생성 -- 유저이름@아이피주소 create user 'root'@'%' identified by '1234'; -- ON DB이름.테이블명 -- TO 유저이름@아이피주소 GRANT ALL PRIVILEGES ON *.* TO 'root'@'%'; CREATE DATABASE blog CHARACTER SET utf8 DEFAULT COLLATE utf8_general_ci; use blog; 2.Mysql 스프링연동 -> 2-1 YML파일에 넣어줄 Mysql정보 spring: datasource: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url: jdbc:mysql://localhost:3306/blog?serverTimezone=..

1.UTF-8이란 1-1 비트를 8개단위로 나눔 (1바이트)-> 하나의영문자 표현가능->아스키코드표 1-2 RAM 1개의 주소공간 1바이트->한 문자 저장가능 1-3 어떻게 나누냐에 따라 해석법이 달라짐 1-4 UTF-8은 3바이트로 전세계공용 2. 프로젝트 생성하기 3.Dependency 설명 3-1 Devtools -> Save시 자동재시작 3-2 Lombok -> Getter,Setter 설정시 어노테이션으로 자동생성 3-3 SpringWeb -> 톰캣내장,어노테이션사용 3-4 jasper -> JSP인식가능하게함 4.Dependency추가설정 5.메모리의 영역별 기능 5-1 스택메모리에는 참조변수가 들어가고 힙메모리에는 참조변수의 공간이 들어간다. 5-2 메소드1개당 스택 1개 5-3 스택은 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