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개발 성장일지

DB 칼럼과 Enum제약조건 본문

개인 공부/스프링부트 개념정리

DB 칼럼과 Enum제약조건

qkq5821 2022. 11. 21. 01:45

1.x-www-form-urlencoded(MIME타입)로 보내는 의미

1-1 (KEY=VALUE&KEY=VALUE) 형태로 보내겠다.(컬렉선프레임워크)

1-2 HTML에서 form태그로 전송하는 효과

2-3 데이터를 DTO형태로 받을수있다.

 

2-4 DAO만들기->SQL구현체와 인터페이스

 

2-4-1 Repository는 SQL의 CRUD+@가 구현되어있다.

2-4-2 User테이블의 기본키는 숫자타입 이라는 뜻

 

 

2-5 컨트롤러에서 컨테이너에 있는 객체 자동주입하기

2-6 데이터 요청과 데이터 DB저장

 

2-7 테이블정보와 칼럼의 관계

 

2-7-1 원래 테이블의 모든 칼럼은 들어가야 DB오류가나지않는다.

2-7-2 User테이블에 role칼럼의 default값은 user이다

2-7-3 default값이 들어가려면 insert시해당칼럼이 없어야한다.

2-7-4 만약 칼럼에 Null값이 들어간다면 Null도 값이므로 default값이 작동하지않는다. 

2-7-5 Role칼럼의 default값 설정이 적용되려면 insert에 칼럼이 없어야 알아서넣어준다

2-7-6 User모든칼럼에 insert해야됨->칼럼은 그대로두고 값을입력하지않으면 null값이들어감

2-7-7 @Dynamininsert를 사용하면 null인칼럼을빼줌

2-7-8 칼럼이빠졌으니 default값이 적용됨

 

 

2-7-9 @Dynamicinsert 를 사용하면 둘다 같은효과를 내게해준다.

 

 

 

3 Enum사용하기

3-1 user테이블의 role칼럼기본값을 컨트롤러에서 임시로준다.

3-2 enum을 적용시켜준다.->칼럼을 선택지로 만들어준다 

 

3-3 Enum적용시효과->칼럼에 특정선택지만 넣을수있음

'개인 공부 > 스프링부트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속성컨텍스트와 더티체킹  (0) 2022.11.22
Crud 테스트 2  (0) 2022.11.21
테이블 연관관계의 주인(보완필요)  (0) 2022.11.20
테이블 생성  (0) 2022.11.20
Yml설정하기  (0) 2022.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