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개발 성장일지
의존성 설정하기 본문
1.UTF-8이란
1-1 비트를 8개단위로 나눔 (1바이트)-> 하나의영문자 표현가능->아스키코드표
1-2 RAM 1개의 주소공간 1바이트->한 문자 저장가능
1-3 어떻게 나누냐에 따라 해석법이 달라짐
1-4 UTF-8은 3바이트로 전세계공용
2. 프로젝트 생성하기
3.Dependency 설명
3-1 Devtools -> Save시 자동재시작
3-2 Lombok -> Getter,Setter 설정시 어노테이션으로 자동생성
3-3 SpringWeb -> 톰캣내장,어노테이션사용
3-4 jasper -> JSP인식가능하게함
4.Dependency추가설정
5.메모리의 영역별 기능
5-1 스택메모리에는 참조변수가 들어가고 힙메모리에는 참조변수의 공간이 들어간다.
5-2 메소드1개당 스택 1개
5-3 스택은 메소드종료시 사라짐-> 힙메모리에 객체는 참조되지않으면사라짐
5-4 메소드에서 기본자료형은 공유할수없으니 객체는 참조변수만 같다면 다른메소드에서 참조가능하다.
6. 스프링에서 패키지->클래스 사용자가 만들면 안되는 이유
6-1 IOC->제어의역전-> 사용자가 객체생성하지마라 관리어렵다->
싱글톤패턴+참조변수를 스프링이관리하겠다
6-2 디스패쳐가 패키지경로를보고 컴포넌트스캔함-> 사용자가 클래스를 임의로 만들면 패키지경로가 달라질수있음
7 @controller
7-1 @controller를 붙이면 스프링이 해당패키지이하를 스캔-> 어노테이션을보고 컨테이너에 담음
'개인 공부 > 스프링부트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허브 연동하기 (0) | 2022.11.15 |
---|---|
MySQL설정하기 (0) | 2022.11.15 |
환경설정)블로그만들기 (0) | 2022.11.14 |
스프링부트 개념정리 (0) | 2022.11.12 |
19~20 스프링부트 (0) | 2022.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