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개발 성장일지
쓰레드와 프로세스정리 본문
1.
2.
3. 프로그램->프로세스가 되었을때 메모리에서 생기는일
3-1 프로세스가 필요로하는 재료들이 메모리에 올라가야한다.
3-2 메모리에 코드영역,데이타영역,Heap영역,stack영역에 나눠서 메모리에 올라감
3-3 해당프로세스 대한 정보를 가진 PCB블록이 생성된다.
3-3-1 Pointer ->프로세스상테 중 준비나 대기상태의 큐를 구현
3-3-2 Process State ->현재 프로세스상태를 담음
3-3-3 Pid->고유변호를 담음
3-3-4 ProgramCounter ->다음명령을 가리킴
4 컨텍스트스위칭)프로세스단위로 프로세스 2개를 동시에 실행시키고싶다면?
4-1 회의시 3팀이있는데 1팀마다 자기가 사용한 마이크랑 책상 다 들고나감
4-2 다음사람이랑 겹쳐서 냅둬도 되는 물건 다바꿈
5.쓰레드->경량화된 프로세스
5-1 발표시에 공통으로 쓰는 마이크랑 책상은 두고 개인노트북만 바꿈
5-2 프로세스의 code영역,data영역,Heap영역은 공유하고 Stack부분만 다름
6.멀티프로세스와 멀티쓰레드 ->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처리 방식
6-1 멀티프로세스방식으로 하면 각기 다른 회의실에서 같은 일을 함
6-2 멀티쓰레드는 같은 회의실에서 같은 일을 함
7.멀티쓰레드와 멀티프로세스의 장단점
7-1 멀티쓰레드방식은 서로긴밀히 연결되어있어서 전체가영향이간다.
7-2 멀티프로세스방식은 서로 덜긴밀해서 전체가영향가지않는다.
8.멀티코어란
'개인 공부 > 스프링부트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on데이터로 통신하기 (0) | 2022.11.23 |
---|---|
예외처리페이지만들기 (0) | 2022.11.23 |
영속성컨텍스트와 더티체킹 (0) | 2022.11.22 |
Crud 테스트 2 (0) | 2022.11.21 |
DB 칼럼과 Enum제약조건 (0) | 2022.11.21 |